본문 바로가기
오늘의 맞춤법

[알쏭달쏭 맞춤법] 우습냐 vs 우스우냐 / 부서뜨리다 vs 부숴뜨리다

by 정돈된 하루 2020. 4. 4.
728x90
반응형

<알쏭달쏭 맞춤법>

 

 

알면 ~하는 맞춤법을 알아보는 시간입니다.

이번에 알아볼 맞춤법은 두 가지입니다.

우습냐 vs 우스우냐

 

부서뜨리다 vs 부숴뜨리다 

 

"넌 지금 이 상황이 우습냐? / 우스우냐?"

이 상황에서 질문을 할 때

어떤 말이 올바른 맞춤법일까요?

 

 

그다음은 물건을 부서뜨리다 / 부숴뜨리다

할 때 쓰는 말인데요. 

쓰고 보니 오히려 헷갈리는 맞춤법입니다.

둘 중 어떤 단어가 올바른 맞춤법일까요?

 

 

정답과 해설은 각각 사진 밑에 있으니

잠깐 생각해보신 후, 정답을 맞혀보세요!^^

 

 

뭐가 우습냐 / 우스우냐 ?

 

 

첫 번째 문제, 우습냐 vs 우스우냐

 

정답은 바로!

'우스우냐'입니다.

 

 

어려운 문제였습니다..ㅎ

'우습냐'가 아닌 '우스우냐'가 정답인 이유는 ‘우습다’는 ‘비읍 불규칙 활용’ 하는 용언인데, 'ㄹ’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뒤에 붙어 쓰이는 ‘-으냐’의 문법성에 따라, ‘우습다’의 어간 ‘우습-’ 뒤에 ‘-우냐’가 붙는다고 합니다.

 

 

다른 비읍 불규칙 활용으로는 '반갑다'가 있는데요.

반갑다 > 반가워,  반갑다 > 반가우냐 / 이런 사례도 있습니다.

 

 

이번 맞춤법은 문법으로 이해해서 외우기는 정말 어렵고

'우습다' > '우스워', '우스우냐' 사례를 눈에 계속 익히는 게 맞춤법을 익히는 효과적인 방법이  될 것 같네요. 

 


이어서,

 번째 문제도 풀어볼까요?

 

부서뜨리다 vs 부숴뜨리다

 

넌 내 마음을 부서뜨렸어 vs 부숴뜨렸어 

 

 

 

 

정답은 바로!

'부서뜨리다'입니다.

 

 

'부숴뜨리다'는 '부서뜨리다'의 잘못된 표현이라고 합니다. 

 

부숴뜨리다의 기본형은 '부수다'인데요.

부수다의 활용형은 [부수어, 부수니]를 쓰입니다. 

그러나 '부서뜨리다'는 이와 예외로, 활용형과는 달리 '부서지다', '부서트리다', '부서뜨리다'와 같이 써야 합니다.

 

 

'부수다'와 자주 헷갈리는 말이 '부시다'가 있는데요.

이는 '부수다'의 잘못된 표현으로 오용되는 경우가 많은데, '부시다' 자체는 [빛이나 색채가 강렬하여 마주 보기가 어려운 상태에 있다.]의 뜻이 있습니다.

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서 사용해야겠습니다. 

 

 

: 결론

우스우냐

부서뜨리다

올바른 맞춤법입니다.

 


 

[맞춤법 본 김에 필수 맞춤법 더 알아보고 가기]↓

 

https://surasuralife.tistory.com/97?category=883108

 

[알쏭달쏭 맞춤법] 일사분란 vs 일사불란 / 서슴지 않고 vs 서슴치 않고

알쏭달쏭 맞춤법 알면 오~하는 맞춤법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. 이번에 알아볼 맞춤법도 헷갈리기 쉬운 두 가지입니다. 일사분란 vs 일사불란 서슴지 않고 vs 서슴치 않고 일사분란 /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모습에..

surasuralife.tistory.com

https://surasuralife.tistory.com/79?category=883108

 

[알쏭달쏭 맞춤법] 허구헌 날 vs 허구한 날 / 껍데기 vs 껍떼기

알쏭달쏭 맞춤법 알면 오~하는 맞춤법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. 이번에 알아볼 맞춤법은 두 가지입니다. 허구헌 날 vs 허구한 날 껍데기 vs 껍떼기 허구헌 날 / 허구한 날 이 단어 뒤에 잔소리가 들려오는 것 같은..

surasuralife.tistory.com

https://surasuralife.tistory.com/61?category=883108

 

[알쏭달쏭 맞춤법] 일어날 때 즈음 vs 쯤 (표 첨부) / 패륜 vs 폐륜

알쏭달쏭 맞춤법 알면 오~하는 맞춤법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. 이번에 알아볼 맞춤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 즈음 vs 쯤 패륜 vs 폐륜 즈음 / 쯤은 자주 쓰는데 언뜻 생각하기에 '쯤'은 즈음의 준말인줄 알았어요 ^^;..

surasuralife.tistory.com

 

반응형
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