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쏭달쏭 맞춤법
알면 오~하는 맞춤법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.
이번에 알아볼 맞춤법은 두 가지입니다.
외골수 vs 외곬수 |
[그 사람은 외골수 / 외곬수라 다른 사람 말은 잘 듣지 않는다]
할 때 나오는 단어죠?
어떤 단어가 올바른 맞춤법일까요?
그다음은 은근히 자주 쓰이는 말입니다.
[~~이 있으매 / ~~이 있음에]
지금 예시로 '쉼'을 넣었습니다.
둘 다 맞는 말 같은데,
하나만 올바른 맞춤법이라고 합니다.
정답과 해설은 각각 사진 밑에 있으니
잠깐 생각해보신 후, 정답을 맞혀보세요!^^
첫 번째 문제,
외골수 vs 외곬수
정답은 바로!
'외골수'입니다.
오답인 외곬수는 '외골수'의 잘못된 표현이라 합니다.
언뜻 보기에는 '골(외골수)'보다는 '곬(외곬수)'이 더 표준어 같았는데,
답은 '외골수'였네요!
외곬수와 외골수와 헷갈렸던 이유가 있는데요.
왜냐하면, '외곬' 역시 표준어이기 때문입니다.
단 한 곳으로만 트인 길은 '외곬', 단 한 곳으로만 파고드는 사람은 '외골수'로 부르기 때문입니다.
한 곳으로만 파고드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을 '외골수'라고 하는데요.
그렇다면 '외곬'은 무슨 뜻이 있을까요?
1. 단 한 곳으로만 트인 길.
2. (주로 ‘외곬으로’ 꼴로 쓰여) 단 하나의 방법이나 방향.
외곬을 활용한 문장을 써보면서 자세히 알아볼까요?
<'외곬'을 활용한 문장 만들기>
외곬으로 생각이 빠지기 시작하면 현상을 객관적으로 볼 수 없어진다. |
이어서,
두 번째 문제도 풀어볼까요?
쉼이 있으매 vs 쉼이 있음에
정답은 바로!
'쉼이 있으매'입니다.
어미 '-으매'는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어미로서, '-음에'는 '-으매'로 고쳐 써야 올바른 맞춤법이라고 합니다.
또 자주 헷갈리는 말 중에 [그대 있음에 / 그대 있으매]가 있는데요.
왠지 눈에 익은 말은 '그대 있음에'이지만, 올바른 맞춤법은 '그대 있으매'가 맞습니다!
<결론>
외골수 / 외곬
쉼이 있으매
올바른 맞춤법입니다.
'오늘의 맞춤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알쏭달쏭 맞춤법] 애시당초 vs 애당초 / 모듬 안주 vs 모둠 안주 (0) | 2020.05.13 |
---|---|
[알쏭달쏭 맞춤법] 실력이 달리다 vs 딸리다 / 소녀는 꿈을 쫓았다 vs 좇았다 (0) | 2020.05.12 |
[알쏭달쏭 맞춤법] 칠칠맞게 vs 칠칠치 못하게 / 스포츠란 vs 스포츠난 (0) | 2020.05.08 |
[알쏭달쏭 맞춤법] 정답을 알아맞추다 vs 알아맞히다, 맞히다 vs 맞추다 / 귀뜸 vs 귀띔 (0) | 2020.05.07 |
[알쏭달쏭 맞춤법] 멋쟁이 vs 멋장이 / 홀홀단신 vs 혈혈단신 (0) | 2020.05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