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알쏭달쏭 맞춤법>
알면 오~하는 맞춤법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.
이번에 알아볼 맞춤법은 두 가지입니다.
제재 vs 재제의 차이
백지장 vs 백짓장 |
'정부는 오늘 00차 부동산 제재 / 재체 정책을 발표했다'
할 때 나오는 단어는 제재일까요? 재제일까요?
이 문장에서는 어떤 단어가 맞는 맞춤법일까요?
퀴즈를 풀어보면서 두 단어의 차이를 알아볼게요!
그다음은 문법 문제입니다.
백지장 / 백짓장입니다.
'백지장 /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'할 때 나오는 말로 귀에 익죠?
어떤 말이 올바른 맞춤법일까요?
정답과 해설은 각각 사진 밑에 있으니
잠깐 생각해보신 후, 정답을 맞혀보세요!^^
첫 번째 문제,
'정부는 오늘 00차 부동산 제재 / 재체 정책을 발표했다'
제재 vs 재제
정답은 바로!
'제재'입니다.
재제와 재제는 둘 다 사용하는 말이고, 한자가 다른, 즉 뜻이 다른 단어입니다.
제재 | 재제 | |
한자 | 制裁(절제할 제, 마를 재) | 再製(두 재, 지을 제) |
뜻 |
일정한 규칙이나 관습의 위반에 대하여 제한하거나 금지함. 법이나 규정을 어겼을 때 국가가 처벌이나 금지 따위를 행함. |
이미 만든 것이나 낡은 것을 다시 가공하여 제품으로 만듦 |
두 단어를 예시를 들어 더 자세하게 이해해볼게요.
<'제재' & '재제'를 활용한 문장 만들기>
제재 : 북한의 핵폭탄 위협에 대한 대책으로 안보리에서 경제 제재를 가하기로 결정했다. |
이제 두 단어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겠죠?
이어서,
두 번째 문제도 풀어볼까요?
백지장 vs 백짓장
정답은 바로!
'백지장'입니다.
'백짓장'이 아닌 '백지장'인 이유는 한자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 원칙때문입니다.
백지+ 장
白紙 + 張
(흰 백, 종이 지, 베풀 장)
즉, 한자 + 한자의 합성어이므로 백'짓'장이 아닌 백'지'장이 된 것입니다.
'한자 합성어에 'ㅅ'이 들어가지 않는다.'
이 문법 법칙을 기억하면서 예시인 '백지장'을 기억하면 다른 단어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^^
<결론>
제재 / 재제 뜻이 다른 단어
백지장
올바른 맞춤법입니다.
'오늘의 맞춤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알쏭달쏭 맞춤법] 내노라하는 vs 내로라하는 / 설레임 vs 설렘 (0) | 2020.08.16 |
---|---|
[알쏭달쏭 맞춤법] 놈팡이 vs 놈팽이 / 너댓 개 vs 네댓 개 (0) | 2020.08.12 |
[알쏭달쏭 맞춤법] 날름 vs 낼름 / 따뜻히 vs 따뜻이 (0) | 2020.08.08 |
[알쏭달쏭 맞춤법] 핼쓱하다 vs 핼쑥하다 / 어디에다 > 얻다 vs 어따 (2) | 2020.08.06 |
[알쏭달쏭 맞춤법] 컵이 산산이 바서졌다 vs 바사졌다 / 술을 담가라 vs 담궈라 (0) | 2020.08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