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쏭달쏭 맞춤법
알면 오~하는 맞춤법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.
이번에 알아볼 맞춤법은 두 가지입니다.
생뚱맞은 vs 쌩뚱맞은 |
[생뚱맞은 / 쌩뚱맞은 이야기를 들었다]
할 때 나오는 단어죠?
어떤 단어가 올바른 맞춤법일까요?
그다음은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입니다.
[그는 없는 말 있는 말 모두 꼬아바쳤다 / 까바쳤다] 할 때
'꼬아바치다 / 까바치다'입니다.
둘 다 맞는 말 같은데,
하나만 올바른 맞춤법이라고 합니다.
정답과 해설은 각각 사진 밑에 있으니
잠깐 생각해보신 후,
정답을 맞혀보세요!^^
첫 번째 문제,
생뚱맞은 vs 쌩뚱맞은
정답은 바로!
'생뚱맞은'입니다.
오답인 '쌩뚱맞은'은 '생뚱맞은'의 잘못된 표현이라 합니다.
언뜻 보기에는 '생(생뚱맞은)'보다는 '쌩(쌩뚱맞은)'이 더 귀에 익었는데, 답은 '생뚱맞은'이었네요!
'생뚱맞은'은 형용사로, 한 가지 뜻이 있습니다.
1. 하는 행동이나 말이 상황에 맞지 아니하고 매우 엉뚱하다
예~전 옛날 프로그램 웃찾사에서 "쌩!뚱맞죠~?"라는 유행어가 있었는데요.
그 기억 때문에 아마 더 헷갈리는 것 같아요.
하지만, 올바른 맞춤법은 '생뚱맞다'가 맞다는 거 체크해두셔요~
이어서,
두 번째 문제도 풀어볼까요?
꼬아바치다 vs 까바치다
정답은 바로!
'까바치다'입니다.
'꼬아바치다'는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방언이지만, '까바치다'만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고 합니다.
또한 그 외 자주 쓰는 잘못된 표현 중에는 '꽂아바치다'도 있습니다.
까바치다는 동사로 '비밀 따위를 속속들이 들추어내어 일러바치다' 라는 뜻이 있습니다.
표현 자체가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이기 때문에 단순히 말을 전달한다는 것을 표현하고 싶을 때 '까바치다'라고 표현하는 건 올바른 표현 방식이 아닙니다.
따라서 '까바치다'라는 표현을 쓸 때는 상황에 맞게 꼭 필요할 때만 유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.
<결론>
생뚱맞은
까바치다
올바른 맞춤법입니다.
'오늘의 맞춤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알쏭달쏭 맞춤법] 간지르다 vs 간질이다 / 풍비박산 vs 풍지박산 (0) | 2020.07.13 |
---|---|
[알쏭달쏭 맞춤법] 가랑비 vs 잔비 / 한 웅큼 vs 한 움큼 (2) | 2020.05.19 |
[알쏭달쏭 맞춤법] 별의별 vs 별에별 / 널브러지다 vs 널부러지다 (0) | 2020.05.15 |
[알쏭달쏭 맞춤법] 날씨가 개다 vs 개이다 / 궁시렁거리다 vs 구시렁거리다 (0) | 2020.05.14 |
[알쏭달쏭 맞춤법] 애시당초 vs 애당초 / 모듬 안주 vs 모둠 안주 (0) | 2020.05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