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알쏭달쏭 맞춤법>
알면 오~하는 맞춤법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.
이번에 알아볼 맞춤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즈음 vs 쯤
패륜 vs 폐륜 |
즈음 / 쯤은 자주 쓰는데
언뜻 생각하기에 '쯤'은 즈음의 준말인줄 알았어요 ^^;
이번에 제대로 알아보아요!
패륜 / 폐륜
한자어인건 알겠는데 패 / 폐가 무엇인지가
핵심이겠네요.
정답은 각각 사진 밑에 있으니
잠깐 생각해보신 후, 정답을 맞혀보세요!^^
첫 번째 문제, 일어날 때 즈음 vs 쯤
정답은 바로!
'일어날 때 즈음'입니다.
‘즈음’은 ‘일이 어찌 될 무렵’을 뜻하는 의존 명사로, 관형어인 앞말과 띄어 적습니다.
반면에, ‘-쯤’은 ‘정도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, “내일쯤/이쯤/얼마쯤/중간쯤"과 같이, 명사 또는 명사구 뒤에 붙여 적습니다.
<한눈에 보는 '즈음' & '쯤'>
|
뜻 |
품사 |
띄어쓰기 |
즈음 |
일이 어찌 될 무렵 |
의존 명사 |
띄어 쓴다 |
쯤 |
정도 |
접미사 |
붙여 쓴다 |
<즈음 & 쯤을 활용한 문장 만들기>
끝날 때 즈음 연락할게. 지금은 바쁘고 내가 내일쯤 다시 연락할게. 국물이 끓을 때 즈음 육수팩을 넣어주세요. 그때쯤은 마음이 지금보다는 편해지겠지. |
이어서,
두 번째 문제도 풀어볼까요?
패륜 vs 폐륜
정답은 바로!
'패륜'입니다.
여기서 패륜은 인간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도리에 어그러짐. 또는 그런 현상이라는 뜻입니다.
패륜의 한자는 '悖倫'로 거스릴 패 悖 / 인륜 륜 倫
즉, 인륜을 거스린다는 뜻입니다.
같은 말로 '파륜'이 있습니다.
破倫 깨뜨릴 파 破 /인륜 륜 倫
인륜을 깨뜨린다는 뜻입니다.
<패륜과 자주 쓰이는 말, '패륜아'>
패륜아는 인간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도리에 어그러지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뜻합니다.
유의어로는 '금수'가 있습니다.
: 결론
일어날 때 즈음
패륜 (=파륜)
올바른 맞춤법입니다.
알면 도움되는 유용한 맞춤법 더 알아보기
https://surasuralife.tistory.com/26?category=883108
[알쏭달쏭 맞춤법] 추근덕대다 vs 치근덕대다 / 새벽녘 vs 새벽녁 / 띄어쓰기
알쏭달쏭 맞춤법 알면 오~ 소리 듣는 똑똑한 맞춤법 문제입니다. 1) 추근덕대다 vs 치근덕대다 2) 새벽녘 vs 새벽녁 각각 어떤 말이 맞춤법에 맞을까요? 첫번째 추근덕대다 vs 치근덕대다 정답은 '치근덕대다'가..
surasuralife.tistory.com
https://surasuralife.tistory.com/25?category=883108
[알쏭달쏭 맞춤법] 꼽싸리 끼다 vs 곱살이 끼다 / 유래 / 곱살이꾼?
알쏭달쏭 맞춤법 누구나 한번 쯤은 들어보았을 흔한 표현 중에 '꼽싸리 끼다'가 있습니다. 남이 하는 일에 끼여들 때 흔히 '꼽싸리 끼다'라는 표현을 쓰는데요. 이게 올바른 표현일까요? 올바른 표현은 '꼽싸리..
surasuralife.tistory.com
https://surasuralife.tistory.com/24?category=883108
[알쏭달쏭 맞춤법] 가자미 vs 가재미 / 가재미눈은 맞는 말일까?
알쏭달쏭 맞춤법 가자미 vs 가재미 헷갈리는데요. 과연 정답은 무엇일까요? 바로 '가자미'였습니다. ‘몸이 납작하여 타원형에 가깝고, 두 눈은 오른쪽에 몰려 붙어 있으며 넙치보다 몸이 작은 물고기&rsquo..
surasuralife.tistory.com
https://surasuralife.tistory.com/23?category=883108
[알쏭달쏭 맞춤법] 모밀국수 vs 메밀국수, 맞춤법과 유래 알아보기
알쏭달쏭 맞춤법 보기만 해도 시원한 00국수입니다. 00안에 들어갈 말은 과연 무엇일까요? 정답은 바로! '메밀'국수 입니다. 모밀 국수로 쓰는 경우가 많아서 헷갈릴 수 있지만, '메밀 국수'가 바른 표현이라고..
surasuralife.tistory.com
'오늘의 맞춤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알쏭달쏭 맞춤법] 아둥바둥 vs 아등바등 / 마굿간 vs 마구간 (0) | 2020.03.20 |
---|---|
[알쏭달쏭 맞춤법] 파투 vs 파토 / 눈살 vs 눈쌀을 찌푸리다 (0) | 2020.03.20 |
[알쏭달쏭 맞춤법] 좋은 데 가자 vs 좋은 대 가자 / 일을 벌리다 vs 일을 벌이다 (0) | 2020.03.20 |
[알쏭달쏭 맞춤법] 어쭙잖게 vs 어줍잖게 / 콧방울 vs 콧망울 / 콧대와 야코 (0) | 2020.03.19 |
[알쏭달쏭 맞춤법] 어물쩡 vs 어물쩍 / 짝짝꿍 vs 짝짜꿍 / 의외로 틀리기 쉬움 (0) | 2020.03.19 |